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우리가 먹는 생선 속 플라스틱 –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by 오늘알면좋은정보 2025. 8. 5.

 

우리가 먹는 생선, 조개, 소금 속에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언뜻 들으면 과장된 주장처럼 보일 수 있지만, 최근 수많은 과학 연구들은 이 미세 플라스틱이 식탁을 넘어 우리의 몸속까지 침투하고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의 해양 유입 경로, 음식 사슬을 통한 인간 노출, 그리고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까지 구체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어디에서, 어떻게 생선에 들어가는가?


■ 미세 플라스틱의 정의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은 크기가 5mm 이하인 플라스틱 조각을 말합니다. 더 작아진 형태인 나노플라스틱(Nanoplastic)은 1㎛ 이하의 입자를 지칭합니다.
이러한 미세 입자는 원래부터 작게 만들어진 제품(예: 스크럽제, 치약 등)에 들어 있거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서 파도와 자외선에 의해 부서지며 생성됩니다.

 

■ 해양 유입 경로


육상에서 흘러들어가는 생활 쓰레기

세탁 시 나오는 합성섬유, 도로 타이어 마모, 플라스틱 포장재 등

하수 처리장에서 걸러지지 않고 방류되는 미세 입자

양식업 및 어업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도구들 (그물, 부표 등)

결국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 곳곳에 퍼져 있고, 플랑크톤 → 작은 어류 → 중형 어류 → 대형 어류 → 인간으로 이어지는 먹이 사슬(food chain)을 타고 축적됩니다.

 

■ 대표적인 오염 해산물


홍합, 굴, 조개류: 전체를 통째로 섭취하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에 가장 취약

참치, 고등어, 연어 등 대형 어류: 생태계 상위 포식자로서 체내 축적 농도가 높음

소금: 바닷물을 증발시켜 만든 천일염에서도 다량 검출된 사례 있음

📌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연구팀이 시중 판매 중인 국산 천일염에서 평균 1kg당 600~1,2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된 바 있습니다.

 

우리 몸에 들어온 미세 플라스틱, 어디로 갈까?

 

■ 입으로 들어온 미세 플라스틱의 경로


사람이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면 대부분은 소화관을 통과한 후 배출되지만,

일부는 장벽을 통과해 혈관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혈액, 폐, 심지어 태반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 2022년 네덜란드 연구팀은 사람의 혈액 샘플 80%에서 미세 플라스틱 입자를 검출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산모의 태반 조직에서도 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됐습니다.

 

■ 잠재적 건강 영향


염증 반응 유발

 

장벽과 조직에 침투한 미세 입자는 만성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면역계 교란 가능성도 제기

 

 

호르몬 교란

 

플라스틱에는 비스페놀 A(BPA), 프탈레이트 등 내분비계 교란물질(EDC)이 포함되어 있음

이들이 체내에 들어오면 호르몬 작용을 방해하거나 모방함

 

 

장내 미생물 교란

 

소화기 내 미생물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소화 장애, 면역 저하 초래 가능성

 

 

발암 물질 흡착 문제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에서 떠다니며 다이옥신, 중금속, 농약 등 유해물질을 흡착함

이러한 오염된 플라스틱이 생선이나 조개를 통해 사람 몸에 들어오면 2차 독성 노출 위험이 발생

 

⚠️ 현재까지 미세 플라스틱이 암이나 특정 질병을 직접적으로 유발한다는 인과관계는 제한적이지만, 장기적 노출에 대한 경고가 과학계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식탁 위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우리의 실천

 

■ 1. 어떤 해산물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 껍데기째 먹는 조개류, 내장을 먹는 어류는 섭취 빈도 줄이기
  • 해산물 구매 시 안전성이 입증된 지역 또는 인증 마크 확인
  • 생식보다는 가열 조리를 통해 일부 오염물질 제거 가능

 

■ 2. 생활 속 미세 플라스틱 배출 줄이기

  • 합성 섬유 세탁 시 미세 플라스틱 필터 부착
  • 일회용 컵/빨대 대신 텀블러, 스테인리스 빨대 사용
  • 마이크로비즈가 포함된 스크럽제, 치약 제품 피하기
  • 천연 수세미, 고체 샴푸 등 제로 웨이스트 생활용품 활용

 

■ 3. 정책 참여와 관심 확산

  • PET병 라벨 제거 의무화, 플라스틱 규제 강화 등 관련 법안 지지
  • 해양 쓰레기 수거 캠페인, 환경단체 활동 후원
  • SNS, 블로그 등에서 미세 플라스틱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하여 사회적 여론 형성

 

🌱 미세 플라스틱은 단순한 ‘바다 쓰레기’가 아닙니다.
당신의 식탁과 건강, 그리고 미래 세대의 환경을 위협하는 실제 문제입니다.

 

마무리: 플라스틱 없는 바다, 건강한 식탁을 위해


생선과 조개를 먹으며 바다의 생명력을 느끼던 시대는 어느새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먹을 것 하나를 선택할 때조차 눈에 보이지 않는 플라스틱의 위협을 고려해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죠.

하지만 희망은 있습니다.

 

우리가 조금씩 바꾸는 소비 습관,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선택, 그리고 환경 정책에 대한 관심이 더해질수록, 바다는 다시 그 생명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오늘 줄인 플라스틱 하나가 내일의 생명을 지킵니다.
건강한 바다, 건강한 인간을 위해 지금부터 함께 움직여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