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2025년 사이 출시된 삼성전자 제습기, 특히 '비스포크(BESPOKE) 인버터 제습기' 라인업은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기능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은 디스플레이의 에러코드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신 삼성 제습기에서 주로 나타나는 에러코드와 일반적인 표시, 그리고 그에 따른 해결 방법을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최신 삼성 제습기(비스포크 인버터) 주요 에러코드 최근 출시된 삼성 제습기는 대부분 영문자 'E'와 세 자리 숫자의 조합으로 에러코드를 표시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아래 표를 참조하여 직접 조치하거나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최신 삼성 제습기(비스포크 인버터) 주요 에러코드 최근 출시된 삼성 제습기는 대부분 영문자 'E'와 세 자리 숫자의 조합으로 에러코드를 표시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아래 표를 참조하여 직접 조치하거나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에러코드 | 발생 원인 | 해결 방법 |
E103, E203 | 제품 내부 기판 간 통신 불량 | 전원 코드를 뽑고 10분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연결해 보세요. 일시적인 통신 오류일 수 있습니다. 동일 증상이 반복되면 삼성전자 서비스센터(1588-3366)에 문의하여 점검이 필요합니다. |
E122, E237 | 열교환기 센서 이상 |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전원 재연결 후에도 코드가 사라지지 않으면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E142 | 실내 온도/습도 센서 이상 | 실내의 온도나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오류입니다. 센서 주변에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하고, 전원을 리셋해 보세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A/S를 신청해야 합니다. |
E154 | 팬 모터 이상 | 제습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공기 흡입구나 배출구가 막혀있지 않은지 확인 후,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점검을 받으십시오. |
E163 | 메인 기판 메모리(EEPROM) 에러 | 제습기의 주 제어 기판(PCB)의 메모리에 오류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전원 리셋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기판 점검 또는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E464 | 컴프레서(압축기) 이상 | 제습의 핵심 부품인 컴프레서(압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표시됩니다.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서비스 센터에 연락하여 점검받아야 합니다. |
E554 | 냉매 부족 에러 | 제습기 내부의 냉매가 부족하거나 누설되었을 때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냉매 시스템은 전문가의 점검 및 수리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
E463 | OLP(과부하 방지) 센서 에러 | 컴프레서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센서의 이상입니다. 제품 과열이나 내부 부품 문제일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표시 | 의미 | 조치 방법 |
물통 비움 (또는 물방울 아이콘 점멸) | 물통에 물이 가득 찼거나, 물통이 제대로 장착되지 않음 | 1. 물통의 물을 완전히 비워주세요. 2. 물통을 "딸깍" 소리가 나도록 정확하게 다시 장착합니다. 3. 물통을 비웠음에도 표시가 사라지지 않으면, 물통의 수위 감지 센서(보통 작은 스티로폼 부표)가 걸려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가볍게 흔들어주세요. |
dF (또는 제상 표시) | 자동 제상 기능 작동 중 | 실내 온도가 낮을 경우(약 16℃ 이하), 제습기 내부에 성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F' 표시는 이 성에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제상 기능이 작동 중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장이 아니며, 제상 운전이 끝나면 자동으로 제습 운전으로 돌아옵니다. |
Lo | 낮은 실내 온도 | 제습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에는 실내 온도가 너무 낮을 때(보통 5℃ 이하) 표시될 수 있습니다. 제습 효율이 떨어지므로 실내 온도를 조금 높인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Hi | 높은 실내 습도 | 실내 습도가 매우 높을 때(보통 80% 이상) 나타날 수 있는 표시입니다. 고장이 아니며, 현재 습도가 매우 높다는 상태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위의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다른 에러코드가 표시될 경우에는 삼성전자 서비스센터(1588-3366)로 문의하거나, 삼성전자 서비스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출장 서비스를 예약하여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조치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